권동철의 화가탐방

[권동철의 화가탐방]서양화가 이태현⑥-1‥Conflict and Harmony: Latest Works of Lee Tae Hyun,‘마블링’시리즈, 1995~2002년[이태현 작가,이태현 화백,이태현 미술가]

권동철 Kwon Dong Chul 權銅哲 クォン·ドンチョル 2024. 3. 2. 19:22

1995년 종로갤러리 개인전. (왼쪽사진)오른쪽 박석원, 함섭. 뒷모습이 이태현. (오른쪽) 왼쪽 뒷모습이 이강소, 정면이 박서보 화백. 사진제공=이태현.

 

 

“나는 마블링을 자연으로 본 것이다. 그 다음 막대를 인공으로 본 것이다. 자연과 인공의 대비인 것이다.1)

 

Conflict and Harmony: Latest Works of Lee Tae Hyun

 

The beginning of Lee Tae Hyun's artistic carrier coincided with the most chaotic transitional period in Korean modern art history. His art in other words started when the new generation artists challenged the major trend in the art world focused on naturalism. The sense of challenge achieved and grew in this era grounded his long journey through the formative arts over the past 50 years. The mindset has continued to spurred him on. His strong gesture of defiance against social absurdities and concentration on his inner world already shaped early in his career.

 

As a person, it appears that Lee is gentle in appearance, but sturdy in spirit. He seems always to be kind and simple-minded; but inside, he has a strong sense of identity. Many fellow artists often talk how humane and warm-hearted he is. His humble and approachable attitude makes other people feel comfortable. As opposed to the appearance, his mind is full of great passion and untiring will to challenge. He betrays his inner strength in his work. Under the meek surface, he hides his fierce and unforgiving relentlessness. That said, I do not mean that he is lacking flexibility; if anything, he always opens his mind to the encounter with the unexpected, new and different.

 

What we can see in his latest works is that he has a firm belief in his inner world. That he unfolds his art confidently with changes and variations proves that instead of settling for the status quo of the world he constructed, he keeps searching for new ways even in his self-conviction. It is odd to say, but we can describe that he seeks alterations without altering any.

 

It is easy to consider his recent works as repetitions of his older creation. However, we must not overlook his subtle and private but distinctive development of attempts for changes. The crossings of his rigid mind and open attitude is not easy to detect.

 

Space99801, 145.5×112,1㎝, Oil on Canvas, 1999.

 

Since relatively early days, he has continued to develop his work that contrasts geometric patterns and his free and expressive inner world. Tensions generated in this process by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extreme gestures cover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read that the work contains his purly personal responses to the situation he is faced with. On the other hand, we could also read his work as the embodiment of the collective reaction to the upheaval of the outer world.

 

It is because his self-awareness of the desperate existential condition in the midst of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the testimony to the reality of the period, not the gesture of connivance. I sometimes am faced with the tendency of criticism about what they perceive as 'the narcissistic idleness' of contemporary art. For those critics, many artists seem to look away the external truth of the period in their egoistic pursuit of art.

 

I think this criticism is based on indiscriminate judgement, ignoring the artist-consciousness built upon challenges and transformations. Many artists choose not to reveal themselves as witnesses of the period for many reasons. The criticism about this undemonstrative position sounds preposterous. We need to look closely at their work and attitude, listing to their inner voice, instead of focusing on what they claim to be.

 

[Oh, Kwang Su(Art critic, Director of the Museum San)/Translation: Lee, Jeong Yeon.]

 

 

Space9510014, 130.3×162㎝, Oil on Canvas, 1995.

 

 

대립과 융화-이태현의 근작

 

△오광수 미술평론가, 뮤지엄 산 관장

 

이태현의 작가로서의 출발은 우리 현대미술이 전환의 높은 파도에 휩쓸렸던 시기에 해당한다. 자연주의적 주류 미술에서 벗어나려는 도전 의식이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을 때 그는 이 중심에서 작가로서의 첫 출발을 시작한 것이다. 이 같은 출발에서 가졌던 도전 의식은 그의 50년에 이르는 조형의 역정을 뒷받침한 근간이 되었으며 자칫 느슨해지는 자신을 채찍질해 온 힘이 되었다. 부조리에 대한 강인한 반항, 자기 세계에 대한 치열한 집중 현상은 이미 출발에서부터 형성되었던 것이다.

 

그의 인간적 모습은 일종의 외유내강형이 아닌가 생각된다. 밖은 언제나 밝고 소박한 모습을 잃지 않으면서 내부는 뜨거운 자의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주변의 작가 동료들이 그의 인간적 면모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으로서 반듯한 태도를 지니고 있어 누구에게나 격의가 없으며 부담 없는 상대가 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런 외면에 비해 그의 내면은 그의 작업이 보여주듯이 주도한 열망과 지칠 줄 모르는 모색으로 차 있다는 것이다. 온화한 외부에 반해 내부는 용납 없는 정신의 강인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유연성이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강인한 반면에 항상 열린 사유의 여유로움을 잃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의 근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자기 세계에 대한 확신과 그것의 전개에 있어 부단한 변모의 여유를 곁들인다는 것은 자기가 완성한 세계에 안주하지 않고 자기 확신 속에서도 끊임없는 모색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변화 없음에서 변화를 모색한다는 것은 이런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그의 근작은 지금까지의 작품의 반복이 아닌가 쉽게 생각할 수도 있으나 진행 속에서의 모색이 내밀하게 진행되었음을 간과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엄격함과 여유로움이 교직(交織)되는 과정은 쉽게 발견되지 않는 법이기도 하다.

 

그는 비교적 초기에서부터 기하학적인 자유분방한 표현적인 내면을 대비시키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그로 인해서 일어나는 화면의 전개는 극적인 대립양상으로 인해 긴장에 넘치는 상황을 펼쳐 보였다. 어쩌면 이 같은 현상은 단순히 작가 개인의 상황에 직면한 순수한 반응형식이라고도 치부할 수 있으나 격변하는 시대의 상황에 대한 어떤 집단적 반응형식이라고도 할 수 있을 듯하다.

 

급속한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 인간이 이 급변하는 상황에 희생되어가는 처절한 실존의 자각은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자각의 시대적, 증인으로서의 의식이 아닐 수 없다. 현대미술을 시대를 외면한 자기탐닉이라고 비판하는 경향을 가끔 목격하는 터이다. 이는 도전과 변혁을 무기로 다져져 온 세대의 작가의식을 제대로 알지 못한 섣부른 판단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단지 변혁의 세대 작가들이 스스로를 시대의 증인이라고 주장하지 않을 뿐이다. 그렇게 주장하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유치한 짓인가.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작품, 그 작품에 대하는 작가의 태도가 이를 증명하고 있음에랴.

 

[참고문헌]

1)이태현 작가 작업실에서 인터뷰, 권동철 대담,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