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동철의 화가탐방

[권동철의 화가탐방]서양화가 이태현⑥-2‥‘마블링’시리즈 1995~2002년, Conflict and Harmony,오광수 미술평론[Lee Tae Hyun,이태현 작가,이태현 화백,이태현 미술가]

권동철 Kwon Dong Chul 權銅哲 クォン·ドンチョル 2024. 3. 3. 17:43

Water Drawing 20102, 162,2 x 130,3cm, Oil on Canvas, 2000.

 

 

“나는 마블링을 자연으로 본 것이다. 그 다음 막대를 인공으로 본 것이다. 자연과 인공의 대비인 것이다.1)

 

Conflict and Harmony: Latest Works of Lee Tae Hyun

 

It is often understood that Lee created the contention and harmony between the random and the planned. His work is overflowing with visual attractions created by the conflicting situations between intentions and chances, and the mechanical and the natural. On the other hand, the conflicts coexist with an atmosphere of harmony. Opposite poles attract each other, as the saying goes. Lee creates the images where the opposite extremes become one. The process of making all kinds of contradictions and of overcoming them, doesn't it represent an important aspect of our life and the worldly order? Doesn't it reflect Lee's inner world which has reached the apex of his philosophical training? I wonder.

 

Lee's picture plane is sometimes divided into two scenes or is composed of different scenes overlapping each other. In general, one part of the background consists of strict bands of geometric patterns reminiscent of a systematic order, but the other part is covered by marbling designs reminding us of chance factors. Maintaining this basic structure, the planned factors and the natural elements stay together rather than attacking each other. The structure of his work therefore reflects his will to draw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pace97981003, 162 x 130,3cm, Oil on Canvas, 1998.

 

 

The marbling technique, Lee's stock in trade, is in a way expressive, but it also is calculated and controlled. In itself, the technique has already reached the point of harmonious coexistence of the planned and the artitrary. For marbling, we need to mix water and pigments first, and then attach a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mixture to pick it up. Lee has developed his unique way of using this technique to create an unpredicted moment of making an artwork. Strictly speaking, he does not create the work. The work is created by itself. Hence, we can say that his work is made by his involvement and the independent expression of the material. Marbling has often been adopted by surrealist artists for their frottage techniques or décalcomanie practices. For them, the technique is accepted as a way of automatism to give an unforeseen form to one's unconsciousness.

 

In Lee's work, we can also find the opposition between light and dark. It should be understood not as one of the simple opposing conditions, but as a representation of the opposite clause of the terrestrial and the cosmic. He wants to describe the cosmic order in his work. The blinking of the symbols of yin and yang, the oriental concepts of the universe, can be explained likewise. It is ceaselessly implied that the conflicts between opposite elements will not be eternalized. In fact, his work shows that the current situation will change as they will unite. Developing his work, Lee appears to maintain his modest voice regarding his perception of the cosmic order and human existence.

 

[Oh, Kwang Su(Art critic, Director of the Museum San)/Translation: Lee, Jeong Yeon.]

 

백두산 천지에서. 맨 오른쪽인 연변화가 한주익, 맨 왼쪽이 이태현, 2002. 사진제공=이태현.

 

 

대립과 융화-이태현의 근작

 

△오광수 미술평론가, 뮤지엄 산 관장

 

흔히 이태현의 작품을 작위적인 것과 무작위의 길항(扶抗)과 융화라고 진단되고 있다. 의도와 우연, 기계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의 대립이 빚어내는 상황의 전개는 시각적 충일(充溢)을 쉽게 유도하고 있음을 지나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론 이 대립이 대립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화해하는 분위기를 지향하려고도 함을 간과할 수 없을 것 같다. 극과 극은 대립이면서 때로는 합일의 장면을 연출하기 때문이다. 모순을 유도하고 극복하는 과정이야말로 어쩌면 인간 삶의 한 양상이자 세계 질서의 궁극의 장이 아닐까. 이 같은 진단은 작가의 내면세계가 어느 달관의 경지로 달려가고 있는 현상의 반영이 아닐까.

 

화면은 두 개의 장면으로 구획되는가 하면 하나의 평면 속에 겹쳐 전개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대체로 바탕은 마블링의 기법에 의한, 우연을 통한 예감의 기운이 화면을 뒤덮는가 하면 엄격한 기하학적인 띠들이 한 면을 차지하는 패턴이다. 이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의도적인 것과 자연적인 요소는 서로를 밀어내기보다 어떤 통일된 질서를 향한 의지를 반영하고 있음을 떨쳐버릴 수 없게 한다.

 

그가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마블링 기법은 대단히 표현적인 내면을 지니면서도 엄격한 통제를 곁들인 것으로 이미 이 속에 작위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이 융화를 이룬 상태라 할 수 있다. 안료와 물을 일정하게 혼합한 상태를 일순간에 떠내는 공정은 그것이 일반적인 마블링의 기법이면서도 또 한편 이태현만이 시도한 독자의 영역이기도 하다. 안료와 물의 작용이 일순간의 접착에 의해 떠 내지면서 예기치 않는 생성의 장을 만드는 것이다. 그것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성되어지는 것이다. 작가의 개입과 물성의 자각적인 발현에서 이루어지는 세계이다.

 

마블링은 프로터주 기법이나 데칼코마니 기법과 같이 초현실주의자들에 의해 빈번히 구사되었다. 일종의 자동기술의 방법으로 무의식 속에서 예기치 않는 형상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이에 못지않게 그의 화면은 빛과 어둠이란 대립적 양상으로도 드러난다. 단순한 대립의 양상이라기보다 지상적인 것과 천상적인 것 즉 우주의 질서를 이 같은 대립항으로 구현하려고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음과 양으로 표상되는 동양적인 우주관의 기호체계들이 때로 명멸하는 것도 같은 상황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들이 대립의 양상으로 궁극화하는 것이 아니라 융화의 양상으로 진행될 것이란 점이 부단히 암시되고 있다. 작가는 이 진행을 지켜보면서 우주의 질서와 인간실존을 자각하려는 겸허한 태도를 견지하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참고문헌]

1)이태현 작가 작업실에서 인터뷰, 권동철 대담,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