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으로서의 상처 이미지와 치유미학
정길채 작가는 작업 초기에 오브제 설치와 같은 공간적 조형작업을 통하여 그가 다루는 소재의 물성이나 형상의 상징적 기호로서의 위치를 점검하면서 현대 사회의 일상적 삶 속에 내재된 권력과 폭력의 매커니즘에 대한 작가적 사유의 소통가능성을 실험하였다.
Jeoung Gil-Chae experimented o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ng artistic thoughts on the mechanism of the authority and violence immanent in the contemporary daily life while identifying the position, as a symbolic sign, of the material property or shape of the materials used for his formative works such as objet installation in the early years of his career.
이후 뉴욕으로 작업 환경을 바꾸게 되면서 회화와 판화와 같은 평면적 작업으로 이행하게 되는데 변화된 작업 환경 속에서도 작가의 기호적 탐구 방식과 사회 구조에 대한 관심은 계속 이어가게 된다.
His exploration method using symbolic signs and interest in the structure of society has continued, while focusing on flat format works such as painting and Printmaking in a new work environment since his movement to New York.
일견 추상회화의 한 경향처럼 보이는 이 시기의 작업들은 선과 색면이 간결하게 표현된 화면의 특징들이 나타나면서도 단순히 추상적 평면 회화의 형식 실험으로만 볼 수 없는 것은 화면 속에서 발견되는 형상들이 상징적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과 이 상징적 기호들이 작가의 개인적 경험과 일정하게 연결되는 알레고리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상적 이미지들은 기호적 변형과 배치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The works created in this period, which might seem to have some features of abstract painting, cannot be simply explained as an experiment of a form of abstract flat painting although they featured simplified lines and color planes. Considering that shapes are used as symbolic signs, which worked as an allegory constantly liking to his personal experiences, those abstract images can be considered as a result of symbolic transformation and arrangement.
△출처=이코노믹리뷰 2013년 5월20일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