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ce through the leaves
자유로움, 그 맑고 은은한 힘
I.
The creator took a lump of clay and molded it into a human form. Then into the clay form he placed a vital living power, thus completing his creation. Without this vital power his life would not always be beautiful. Thus whether quietly sitting in his room, walking on the street, or meeting others, he is thinking and living. When these thoughts form and move within, the painting begins. The heart and hand quickened in harmony produce a vital living image of this on the canvas. As the process continues, freedom comes to light in the picture. This level of expression flows from a life of deep thinking and training. Hidden in the picture we see the artists years and labor.
조물주는 진흙을 빚어 사람의 모습을 만들고 그 진흙사람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완성된 사람을 창조했다. 만약 사람에게 이러한 생기가 없었다면 삶은 아름답지는 않았을 것이다. 조물주는 인간자유의지까지 부여하는 축복을 했다. 그리하여 고요한 방에 있을 때도 길을 갈 때도 사람을 만날 때도 생각(사유)하며 삶을 살게 하였다. 사람이 이 생각을 움직여 그림을 그리기 시작할 때, 마음과 손 사이에 서로 화합하는 힘을 느끼면 이는 힘 있는 (기운생동)그림을 그리는 단계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 기운을 잘 이끌면, 이끌어 갈수록 그림은 더욱 자유로워진다. 이러한 단계는 평소의 깊은 사색과 수련에서 나오는 것이요, 단번에 이르더라도 오랜 세월의 각고가 배어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II.
In the last four years Inheh Hwang has drawn tiny segments of nature. The picture titles ‘seeing space’ shows quietly seeping and evenly blended images, as through leaves and branches endless space is seen. Because of the cross relationship of the corning and fading images the flat surface naturally becomes a living organic composition. The painted and unpainted surfaces bring to our awareness the complementary colors and also give it vitality. We notice the artist did not employ the rules of depth nor degrees of light. Neither did she use outline nor surface to explain the lines. The artist shows self expression. This is neither in keeping with pure realistic style nor pure abstract style. Rather it is a marriage of both. The work produces tension and also release of tension. The soft, delicately mild feeling is the result of harmonious color. Strength and tension are brought forth by virtue of complementary and opposite colors. The artist examines and paints the colors of nature revealing her love for the same. A deep interest in and appreciation for the power of life is seen herein.
황인혜는 4년 전부터 자연의 부분을 그린 것 같은 작업을 해 오고 있다. <시공>이라고 이름 지어진 그의 그림은 잔잔하게 스며드는 듯 하다가 다시 고르게 얼룩지어지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나타나고 사라지는 교차관계로 인해 하나의 유기적 생성체로서의 평면을 자연스럽게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그린 면과 그리지 않은 면은 물리적으로는 보이지 않는 보색의 색감을 느끼게 유도, 생동감을 준다. 특히 원근법이나 명암처리는 되도록 피하고 있으며 윤곽을 그리는 선이나 선의 해석을 돕는 면이 아닌 그 나름의 조형요소를 보인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는 무엇인가 연상되는 상태이나 사실묘사의 성격이나 추상유희의 성격이 아닌 이 두 요소를 아슬아슬하게 균형 짓는 상태이다. 이 작업은 작가를 고도로 긴장시키지만 반면 가장 편안함을 주는 것이다. 색의 사용에서도 형태를 구별 짓는 초기적. 수식적 단계를 뛰어넘어 형태가 전달할 수 없는 표현성을 지니고 있다. 부드러우면서 온화한 느낌은 비슷한 색에 의해 이루어지며, 반면 보색이나 반대색의 대비는 강렬하며 긴장감을 준다. 부드럽게 얼룩진 흔적들은 형태를 찾아가는 자기 표현적 과정이며 강렬한 색의 대비는 의도적인 노력에 의한 힘의 분출이다.
자연세계로부터 무엇인가를 관찰하며 그것과 더불어 작업하고픈 애착을 표현하고 있으니 이는 자연대상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와 애정 어린 시선으로 자연을 다스리는 근원적 힘에 가까이 가고자 함이다. 곧 자연의 유기적 형태가 갖는 생명력에 대한 깊은 관심인 것이다. 싹이 움트는 나뭇잎에서 혹은 당당히 서 있는 산야에서 꿈틀거리는 생명의 소리를 들으며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려하고 있다. 이는 한 사람으로서 생명의 근원에 대한 자연스러운 접근임과 동시에 자기 확신의 행위라 생각된다. 따라서 이 생명과정은 끊임없이 진행되는 일종의 역동적 균형 상태를 이루고자 하는 형태로서 유기적 생명체계가 시각화 된 공간적 형상을 이룩하고 있다. 주위에 흩어져있는, 생명력으로 충만 된 무수한 사물들은 그것을 바라보는 작가의 직관 . 미적 경험 그리고 상상력에 의해 새롭게 은유되어 무한한 형상과 상징적 내용을 암시하는 새로운 이미지로 전달된다. 보이는 대상들은 우리의 오감을 통하여 사물과는 전혀 다른 이미지로 전이되기도 하므로 그 생명체 안에 흐르는 율동과 질서는 고정된 형태가 아닌 또 하나의 <다른> 생명체로 화면에 나타난다. 비로써 하나의 객관체로서 자연의 묘사가 아닌 작품으로서의 생명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III.
Man sees only small parts. But art is not segmented at any time. Therefore we must see the whole through the segment. We have experienced that life is not cut into pieces but is a continuous whole. Though we draw a part of a scene of a human body, the work of art itself is whole. The artist conveys this feeling of a whole entity through harmony, movement and contrast. No structural rule can limit thinking and feeling. Such are limited only by the bounds of the human heart and mind. The joy of freedom is expressed in the spontaneous human desire to put pen to paper and also seen in the heart of the child.
우리가 본다는 것은 무엇이든 부분이다. 그러나 예술작품은 어느 경우이거나 부분일 수는 없다. 따라서 부분을 통해서 전체를 보아야 하고 무한히 이어지는 생명을 체득해야 한다. 풍경의 일부, 인체의 일부를 대상으로 했더라도 예술작품은 항상 전체로서 있는 것이고 자연의 일부, 그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감정은 최종적으로 화면의 형상을 통하여 표현되어야 하니 필연적으로 조화 . 율동 . 비례의 조건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규율은 감정과 생각의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이 없으니 이는 마음을 따라 움직이는 자유로움을 얻어야 한다. 자유로움, 그 기쁨은 마냥 긋고 싶은 사람의 본능이며 끝없이 펼쳐지는 동심의 세계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담담하게 펼쳐지는 황인혜의 리듬과 가락은 화면이라는 공간에 조물주의 공간적 질서를 닮으려는 소박한 사람의 노력이요 신앙이다.
△글=July 1989, 김용대 호암갤러리큐레이터(Yongdae Kim, curator of Hoam Gallery)
'종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Legitimacy of Korean Culture & Abstract Calligraphic Painting-from 화가 황인혜 (0) | 2014.06.11 |
---|---|
화가 황인혜의 작품세계-한국문화의 정통성과 문자추상 (0) | 2014.06.11 |
BACK JI YOON-Green Aura, Available Only to the Youth (0) | 2014.06.10 |
한국화가 황인혜-서정적 추상세계 그 자연의 숨결(HWANG IN HEH,매듭단추,한국화,The endless love,라영 황인혜,황인혜,화가 황인혜,황인혜 작가) (0) | 2014.06.10 |
서양화가 김인숙|미국 휴스턴 한인라디오방송 'i10korea' 인터뷰 (0) | 201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