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자료

〔BOOK〕1만엔권 상징-‘후쿠자와 유키치의 아시아 침략사상을 묻는다’-이향철 교수 옮김

권동철 Kwon Dong Chul 權銅哲 クォン·ドンチョル 2014. 11. 2. 20:57

 

 

책을 번역한 이향철 교수

 

 

  

 

   

<후쿠자와 유키치의 아시아 침략사상을 묻는다

-야스카와 주노스케 지음

-이향철 옮김

-역사비평사 펴냄

-23000

 

 

 

 

오늘날 일본에서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는 최고액권 지폐인 1만 엔권의 초상인물로 메이지시대 최고 사상가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그의 사후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치르게 되는데 지금까지도 일본사회는 전쟁과 패전으로 얼룩진 어두운 쇼와시대의 기억을 밝은 메이지의 영광과 단절시킨 채 이해하는 풍조가 있다.

 

후쿠자와를 바람직한 근대 일본구축을 위해 가장 기대되는 인물상의 반열에 올려놓는데 기여한 학자가 전후 일본 학문의 천황으로 불리는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1914~1996)였다. 그는 활기차고 지적이며 영광스러운 메이지 시대의 이미지를 후쿠자와에 투영했다.

 

이러한 후쿠자와의 기록에 하나하나 필주(筆誅)를 가해 논리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 해설을 정면으로 뒤집어 놓은 학자가 저자인 야스카와 주노스케(나고야대학 명예교수) 씨다.

 

이 책은 2000년도 일본에서 발간되었을 때 초판이 3개월 만에 매진될 정도로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저자는 후쿠자와는 일본의 아시아 침략을 선도한 인물로 이런 그의 본모습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침략과 식민지배의 전쟁 책임이라는 중차대한 문제를 방치·봉인한 채로 후쿠자와를 민주화 계몽의 챔피언으로 꾸며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저자는 후쿠자와가 실제로는 조선과 중국 인민에 대한 멸시관을 만들어 내고 아시아 침략의 선두에 서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아시아 민중들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맥락에서 기술하고 있다.

 

발간 당시 일본 기업인 독자층이 넓은 일간공업신문에서 비중 있게 다룬 이 책을 번역한 이향철(광운대 동북아통상학부) 교수는 일본 기업이 중국 등 아시아 국가 진출에 있어서 역사 문제가 과거사로 끝난 것이 아니라 현재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아시아 국가들과의 현실적 역사 인식 공유는 피해갈 수 없었을 것이다고 풀이했다.

 

나아가 이 교수는 심하게 뒤틀린 후쿠자와의 이미지를 걷어내 그 본모습을 복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통해 일본 근대사상의 재구축을 시도한 것이다일본 주류학계의 논리와 언어를 답습해 전파하는데 소임을 다해 온 국내 일본학 역시 스스로 자료집을 펼쳐놓고 읽어가는 노력을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 해방 이후 한국 민주주의 발전 단계에서 왜 우리의 자발적 노력들을 무시하고 제국적 논리로 보아왔는지 상기시키고 있다.

 

아울러 결국 우리가 일깨워야 하는 것은 우리의 논리와 언어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것이 한·일 문제를 풀어 가는데 있어서 놓치고 있었던 또 하나의 아이덴티티(Identity·정체성)가 아닌지 되돌아보게 하고 있다.

 

책을 번역한 이향철 교수는 전쟁 피해자 개개인의 입장인 민중적 관점에서 기술한 이 책은 초판이 나오기 전·후 아시아에서 종군위안부, 사할린 문제 등의 당사자들이 일본 재판소에 직접 일본의 전쟁 책임을 묻는 소송 등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출처=이코노믹리뷰 문화전문기자 권동철 (2011419일 기사)